4월 1일 미국 증시 요약: 다우 하락·나스닥 상승, PMI 지표 부진 영향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가전디지털, 이동형 TV: https://link.coupang.com/a/cmoC3g
쿠팡이 추천하는 이달의 급상승 키워드, 이동형 TV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이달의 급상승 키워드, 이동형 TV 관련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pages.coupang.com
미국 증시 요약: 2024년 4월 1일, 혼조세 마감한 3대 지수
1. 미국 증시 전체 흐름 요약
2024년 4월 1일(현지 기준), 미국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3대 지수인 다우 지수, 나스닥 지수, S&P500이 각각 서로 다른 흐름을 보이며 시장은 하루 종일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정책 시행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되고 불확실성이 커졌습니다.
1-1. 다우 지수 혼조세 배경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하락한 41,989.96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장 초반에는 41,879.75로 출발해 하락세를 보였으며, 장중 최저점은 41,519.90까지 내려갔습니다. 중반에 일시적으로 상승 전환했지만 장 후반 다시 하락 전환하며 마감 직전 낙폭을 다소 회복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시장 참여자들의 관망세가 강했고, 관세 정책 발표를 앞둔 경계심이 시장을 지배했습니다.
1-2. 나스닥 지수 강세 이유
나스닥 지수는 하루 종일 상대적으로 견고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전 거래일 마감가 17,299.29 대비 17,449.89로 약 150포인트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시가 17,221.55에서 시작해 장중 고점 17,506.59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주도했으며, 이는 특히 기술주와 성장주의 강세가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장 후반 보합권까지 내려왔지만, 다시 반등하며 강세를 유지한 점이 돋보였습니다.
1-3. S&P500 지수 변동 요인
S&P500 지수는 변동성을 보인 끝에 5,633.07로 상승 마감했습니다.
전일 종가 5,611.85에서 하락한 5,597.53으로 출발했지만, 장중 저점 5,558.52를 찍은 후 반등하며 상승폭을 회복했습니다.
이는 기관투자자들의 저가 매수세와 경기 민감 업종의 일부 회복 덕분입니다.
장 후반엔 다시 하락 전환했다가 마감 직전 상승 반전에 성공했습니다.
2. 경제 지표 분석: 제조업 PMI
이날 가장 주목받은 경제 지표는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3월 제조업 PMI입니다.
예상치 49.5보다 낮은 49.0이 발표되며 경기 둔화 우려가 커졌습니다.
PMI 지수가 50 미만이면 경기 축소,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을 의미하는데,
전월 수치인 50.3보다도 하락하면서 경기 회복세가 꺾일 수 있다는 우려를 자극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리스크 회피 성향을 강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했습니다.
3. 트럼프 관세 정책과 시장 반응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오후 4시에 상호 관세 정책을 발효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기업 실적과 공급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무역 갈등에 대한 우려가 다시 고조되었고, 시장은 이에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특히 다우 지수의 하락세는 제조업 및 중공업에 대한 투자 심리 악화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4. 원자재 및 금리 시장 동향
4-1. 구리 선물 시세 분석
구리 선물 시장은 하루 동안 횡보세를 유지했습니다.
시가 5.0510달러, 고가 5.1160달러, 저가 5.0060달러를 기록했으며,
종가는 5.0410달러로 고점에서 약간 내려온 수준입니다.
이는 경기 둔화 우려와 함께 원자재 수요 감소 전망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구리 선물은 단기 상승 추세 안에서 조정을 받는 모습입니다.
4-2. 미국 국채 수익률 변화
채권 시장에서도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 10년물 국채 수익률: 4.1610% (-1.98%)
- 2년물: 3.8750% (-0.95%)
- 3년물: 3.8550% (-1.23%)
장기 금리가 단기 금리보다 빠르게 하락하면서 수익률 곡선의 평탄화 현상이 관찰되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경기 침체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5. 결론 및 향후 전망
4월 첫 거래일인 이날, 미국 증시는 불안정한 흐름 속에서도 나스닥의 선전이 돋보였습니다.
그러나 경기 지표 부진(PMI)과 트럼프의 관세 정책 발효를 앞둔 불확실성은 여전히 시장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향후 발표될 고용 지표, 기업 실적 발표, 연준의 금리정책 관련 코멘트가 증시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단기적으로는 보수적인 포지션 유지와 종목 선별 전략이 중요할 것으로 보이며,
중장기적으로는 무역 정책과 실물 경기 지표의 변화에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을 담은 글입니다.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종목 선정과 투자는 전적으로 개인에게 책임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