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4일 미국증시 다우산업 나스닥 S&P500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미국 증시, 3대 지수 모두 상승…관세 낙관론과 기술주 매수세 영향
다우지수, 다시 4만 선 회복
2025년 4월 25일, 한국 시간 기준으로 전해진 미국 증시 소식은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한껏 끌어올렸습니다. 미국 현지 시간으로 4월 24일, 다우지수는 1.23% 상승하며 40,093.40으로 마감, 다시 4만 선을 돌파했습니다.
당일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하락 출발하며 39,531.05에서 장을 시작했지만, 장 초반 하락폭을 극복하고 상승세로 전환한 후 꾸준히 우상향 흐름을 보였습니다. 이는 단순한 기술적 반등이 아닌, 시장 심리에 긍정적 변화가 생겼음을 의미합니다.

나스닥, 기술주 중심 강세…2.74% 급등
같은 날, 나스닥 지수는 2.74% 상승한 17,166.04로 장을 마감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습니다. 전날 종가인 16,708.05보다 457.99포인트 상승한 수치입니다.
장 시작부터 상승 출발한 나스닥은 장 마감까지 꾸준히 오름세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기술주에 대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시장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흐름을 형성했습니다.
하지만 일부 기술주는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엔비디아(–3.62%), 마이크로소프트(–3.45%), 아마존닷컴(–3.29%) 등은 단기 급등 이후 차익 실현 매물이 나왔습니다.

S&P500도 동반 상승…시장 전반의 회복세 반영
S&P500 지수 역시 2.03% 오른 5,484.77로 마감, 5,400선을 다시 넘어서며 시장 전반의 회복세를 확인시켰습니다. 장 시작가는 5,381.38로, 장중 하락 없이 우상향 곡선을 그리며 마감했습니다.
S&P500은 미국 전체 경제의 체력을 나타내는 대표 지수로, 이러한 상승은 투자자들이 리스크를 감수하고 다시 주식 시장으로 복귀하고 있다는 신호로 읽힙니다.

미국 국채 수익률 하락…투자심리 회복에 긍정적 신호
이날 채권 시장에서는 미국 국채 수익률이 전반적으로 하락했습니다.
- 10년물 국채 수익률: 4.3150% (–1.64%)
- 2년물 국채 수익률: 3.7930% (–1.76%)
- 3년물 국채 수익률: 3.7950% (–2.06%)
국채 수익률 하락은 안전자산 수요가 줄고,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가 높아졌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주식시장 상승과 직결된 흐름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구리 선물 시세 혼조세…산업 경기 반영
4월 24일 구리 선물은 혼조세를 보이며 4.8560달러에 마감했습니다. 장 시작가는 4.8325달러였고, 장중 최고가는 4.8860달러, 최저가는 4.8095달러로 나타났습니다.
구리는 산업 수요의 지표로 여겨지는데, 최근 1개월 및 1년 차트를 보면 횡보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는 제조업 전반의 흐름과 긴밀히 연결되며, 향후 글로벌 경기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관세 정책 낙관론…증시 상승의 핵심 요인
이번 상승장의 핵심 촉매는 바로 관세 정책에 대한 낙관론이었습니다. 최근 미국 정치권에서는 중국과의 무역 갈등 완화 가능성이 다시 제기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이 중국과 매일 협상하고 있으며, 향후 2~3주 내에 관세를 인하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 같은 발언은 투자자들에게 희망적인 시그널로 작용했고, 증시 상승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다만, 중국은 해당 발언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고, 트럼프 전 대통령 역시 SNS에서 중국을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중국은 보잉 항공기 구매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고, 펜타닐 문제도 심각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런 모순된 메시지는 시장에 혼란을 주고 있으며, 향후 변동성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쿠팡이 추천하는 가정의 달 SALE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가정의 달 SALE 관련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pages.coupang.com
앞으로의 전망…기대감과 불확실성이 공존하는 장세
4월 24일 미국 증시의 상승은 기술주 매수세, 관세 정책 기대감, 국채 수익률 하락이라는 복합적인 요인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승 흐름이 장기적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특히 정치적 발언 하나에도 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 있는 구조에서는 투자자들이 더 신중한 접근을 해야 합니다. 단기 트렌드보다 중장기적 흐름에 주목하며, 기본에 충실한 투자 전략이 요구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을 담은 글입니다.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종목 선정과 투자는 전적으로 개인에게 책임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