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쿠팡트래블, 비발디파크 초특가 패키지: https://link.coupang.com/a/cmGjEl
쿠팡이 추천하는 쿠팡트래블 소노 비발디파크 특가 관련 혜택과 특가
쿠팡이 추천하는 쿠팡트래블 소노 비발디파크 특가 관련 특가를 만나보세요. 로켓와우 회원은 다양한 할인과 무료 배송 및 반품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pages.coupang.com
1. 2025년 4월 3일 코스피 시황
1-1. 코스피 장중 흐름
2025년 4월 3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68.43포인트 하락한 2,437.43으로 출발하며 시장의 불안한 분위기를 반영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서서히 하락 폭을 만회하며 회복세를 보였고, 최종적으로는 2,486.70에 마감하면서 전일 대비 19.16포인트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1-2. 투자자별 매매 동향
- 개인 투자자는 이날 8,014억 원 순매수하며 시장을 받쳤습니다.
- 반면, 외국인 투자자는 무려 13,752억 원의 대규모 순매도를 기록하며 하락 압력을 가했습니다.
- 기관 투자자는 4,610억 원을 순매수하며 방어적인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2. 코스닥 시황 분석
2-1. 시가 대비 마감 흐름
코스닥은 전일 684.45에서 670.75로 출발하며 약세를 보였습니다. 장중 보합권 등락을 반복하다가 최종적으로 683.49에 마감하며 1.36포인트 하락했습니다.
2-2. 투자 주체별 거래
- 개인 투자자는 665억 원 순매수
- 외국인 투자자는 642억 원 순매도
- 기관 투자자는 37억 원 순매수
개인이 주도한 매수세 속에서 외국인의 차익실현 매도가 지수를 제한하는 모습이었습니다.
3. 시가총액 상위 10종목 동향
3-1. 반도체·자동차 하락 원인
이날 주식시장에서 삼성전자(-2.04%), SK하이닉스(-1.67%), 현대차(-1.27%), 기아(-1.41%) 등 주요 반도체 및 자동차 종목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미국의 상호 관세 발표로 인해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된 산업군이기 때문입니다.
3-2. 바이오·방산 종목 상승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6%), 셀트리온(+2.24%), 한화에어로스페이스(+5.13%), NAVER(+1.53%) 등 관세의 영향을 받지 않은 종목들은 상승세를 나타냈습니다.
4. 업종별 주가 흐름
4-1. 우주항공·방위 산업
- 우주항공 및 방산 업종은 4.09% 상승했습니다.
대표 종목으로는- 엠앤씨솔루션(+8.75%)
- RF머트리얼즈(+5.55%)
- 한화에어로스페이스(+5.13%)
이들 종목은 미국 관세 이슈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인식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4-2. 제약 섹터 강세
- 제약 업종도 3.58% 상승했습니다.
- 애드바이오텍(+10.59%)
- 네오이뮨텍(+8.51%)
- 안지오랩(+7.15%)
- 오름테라퓨틱(+7.05%)
제약주는 관세 이슈에 언급되지 않은 ‘비관세 테마’로 인식되며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4-3. 양방향 미디어와 서비스
- 디어유(+6.92%), THE E&M(+5.84%), 카카오(+4.77%) 등이 포함된 섹터로, 콘텐츠 플랫폼 관련 기업들도 상승했습니다.
5. 테마별 상승주 정리
5-1. 4대강 복원 관련주
- 웹스는 상한가인 **+30%**를 기록하며 한국거래소의 조회 공시 요구를 받았습니다.
그 외- 자연과환경(+1.8%)
- 우원개발(+0.93%)
4대강 복원 관련 테마는 정책 기대감에 따른 매수세가 유입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5-2. 인터넷 대표주
- 카카오와 NAVER는 각각 4.77%, 1.53% 상승하며 인터넷 대표주 테마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이는 미국 관세의 ‘무풍지대’로 인식된 영향입니다.
5-3. 일자리·취업 테마
- 원티드랩(+12.55%), 대성창투(+6.19%), 오픈놀(+3.21%)
최근 고용 데이터 및 정책 발표에 따라 투자심리가 개선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6. 총평: 관세 이슈와 외국인 매도, 향후 관전 포인트
4월 3일 한국 증시는 전반적으로 불확실성 속에서도 일부 업종과 종목은 오히려 기회를 찾는 흐름을 보여줬습니다.
외국인의 대규모 매도세와 미국의 관세정책이 시장을 흔들었지만, 방산·바이오·인터넷 테마주들은 상승세로 눈길을 끌었습니다.
앞으로 투자자들은
- 외국인의 순매도 기조 변화
- 미국발 무역정책의 세부 내용
- 업종별 실적 발표
등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할 시점입니다.